예능/시사/교양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영화조타
9 0 0
name | 추적 60분 |
---|
최신 드라마/예능 다시보기 사이트에서 소개하는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링크 리뷰 줄거리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비교적 안전한 재테크 수단으로 선호되는 부동산! 특히 낮은 가격에 취득이 가능한 공·경매 부동산 분야는 따로 공부하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 최근 유튜브에는 경매 낙찰 및 부동산 투자로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정보들이 많다. 자칭 경매의 거장이라는 A 원장은 서울에서 경매학원을 운영하며 아들과 함께 부동산 전문 유튜버로 활동중이다. 40년 가까이 부동산 투자 외길을 걸었다는 A 원장과 아들. 하지만 A 원장 부자를 믿고 부동산에 투자한 사람들은 수년째 높은 수익은커녕 원금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며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피해자들은 해당 경매학원 측과의 공동투자로 인한 투자자만 7천 명, 전체 피해 규모는 3천억 원으로 추산된다고 주장한다. 부동산 공통투자란 대체 무엇이며 함정은 없는지 《추적60분》이 부동산 공동투자의 실태를 추적했다. ■ 사라진 대박의 꿈, 물치도 인천 영종도 앞바다의 작은 섬, 물치도.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지만 2020년 봄, 물치도에는 개발 열풍이 불었다. “쓰레기 재생 발전소를 만들어 연간 100억 원 수익을 낼 계획”, “수익률이 좋아 봉이 김선달이 물 떠서 파는 것과 똑같다”라는 말로 공동투자를 홍보한 ‘ㅎ’ 경매학원. 학원 수강생 100여 명에게 1인당 6,000여만 원씩 투자금을 받은 A 원장은 부족한 돈을 은행에서 빌려 같은 해 2월, 94억 원에 섬을 낙찰받았다. 이후 5년이 흘렀지만 물치도는 개발은 커녕 현재 폐허로 남아있다. 경매학원의 수강생으로 김 원장의 말만 믿고 8,000만 원을 투자한 최준식(가명) 씨는 폐허로 변한 물치도에서 망연자실했다. 물치도 공동투자는 왜 이렇게 허무하게 끝난 것일까? 전모를 추적했다. “5년 가까이 대출금 43억 원에 대한 이자를 갚고 있습니다. 아직도 몇몇 투자자는 이 섬에서 학원이 수익 사업을 시작하거나 좋은 가격에 되팔 수 있을 거라고 믿고 있어요. 무너진 이 선착장과 끊긴 도로를 그분들이 본다면 저처럼 억장이 무너지지 않을까요?” -투자자 최준식(가명) 씨 인터뷰 중 ■ 같은 땅, 같은 수법, 계속되는 공동투자 피해 경매학원을 운영하는 A원장의 이런 투자수법은 처음이 아니다. 2018년 A 원장의 경매학원을 통해 김포의 전원주택 부지에 공동투자한 김민수(가명) 씨는 당시 개발 가능성이 없는 땅을 소개한 A 원장에게 조속한 매매를 요구했다. 결국 2년 6개월 만에 땅을 팔아 겨우 원금만 받을 수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 땅을 산 사람은 김 원장 직원의 지인이 대표로 있는 SPC(특수목적법인)였다. 그런데 2022년 김 원장은 이 땅으로 다시 투자자들을 모집, 땅의 가격을 올렸다. 애초 32억에 낙찰받았던 땅은 두 번의 거래를 통해 47억으로 뛰었다. 정상적이지 않고 석연치 않은 거래로 의심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이 땅은 경사도가 11도가 넘어 애초에 개발이 힘든 땅이다. 현재 70명의 투자자는 팔 수도 개발할 수 없는 땅에 이자만 부담하며 한숨만 쉬고 있다. “우리한테는 이게 다 개발된다고 말했지만 학원 특성상 자기네들도 그걸 모르면서 할 수는 있죠. 그런데 재매매를 할 때는 이게 분명히 개발 안 되는 걸 알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다시 되팔 때 개발이 된다고 하고 팔았다는 거죠. 그 얘기 듣고 굉장히 놀랐어요. 진짜 이렇게까지도 수법이 악랄해질 수 있구나란 생각이 들었어요.” - 과거 투자자 김민수(가명) 씨 인터뷰 ■ 투자자 모르게 팔린 부동산, 매매대금은 어디 있는지도 몰라 또 다른 투자자 이영희(가명) 씨는 구리시의 작은 세차장이 개발 예정이라는 말을 듣고 6,240만 원을 투자했다. 그런데 최근 경매학원으로부터 투자용 보유자금이 바닥났으니 추가로 납입하라는 통보를 받았다. 최초 매매 당시에는 이영희 씨와 43명의 투자자가 투자한 원금 22억 원을 제외하고도 9억이 넘는 보유 자금이 있었다고 한다. 9억 원이 2년 만에 석연치 않게 바닥난 까닭은 무엇일까? 경매학원 측이 제공한 현금 입출금 내역에는 투자자는 몰랐던 세 회사가 등장하고 이 회사들은 주기적으로 투자자들의 통장에서 ‘대여금’이란 명목으로 수천만 원의 현금을 빼낸 정황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 세 회사는 해당 부지의 필지를 나눠 구입한 걸로 등기부등본상에 기록되어 있었다. 투자자가 영문도 모르는 사이 끊임없이 빠져나간 투자금. 투자자들의 피해는 어디서 구제받을 수 있을까? 이 문제를 책임져야 할 A 원장과 아들은 공동투자를 통해 보유한 땅을 매각해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은 하지 않았다. #추적_60분 #다시보기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링크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무료보기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티비나무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소나기티비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영화조타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영화조아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사과티비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무비링크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누누티비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티비몬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티비위키 추적 60분 62회 다시보기 241115 62화 후후티비 |
|||
AD
무료보기
다시보기1
· 노제휴/비제휴
· 쿠폰 100,000p 지급! · 첫결제 없는 웹하드 다시보기2
· 노제휴/비제휴
· 가입즉시 100만p 지급! · 첫결제 없는 웹하드 다시보기3
· 자료많은 웹하드 No.1
· 혜택 많은 웹하드 · 제휴/합법 다운로드 |
|||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비교적 안전한 재테크 수단으로 선호되는 부동산! 특히 낮은 가격에 취득이 가능한 공·경매 부동산 분야는 따로 공부하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 최근 유튜브에는 경매 낙찰 및 부동산 투자로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정보들이 많다. 자칭 경매의 거장이라는 A 원장은 서울에서 경매학원을 운영하며 아들과 함께 부동산 전문 유튜버로 활동중이다. 40년 가까이 부동산 투자 외길을 걸었다는 A 원장과 아들. 하지만 A 원장 부자를 믿고 부동산에 투자한 사람들은 수년째 높은 수익은커녕 원금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며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피해자들은 해당 경매학원 측과의 공동투자로 인한 투자자만 7천 명, 전체 피해 규모는 3천억 원으로 추산된다고 주장한다. 부동산 공통투자란 대체 무엇이며 함정은 없는지 《추적60분》이 부동산 공동투자의 실태를 추적했다. ■ 사라진 대박의 꿈, 물치도 인천 영종도 앞바다의 작은 섬, 물치도.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지만 2020년 봄, 물치도에는 개발 열풍이 불었다. “쓰레기 재생 발전소를 만들어 연간 100억 원 수익을 낼 계획”, “수익률이 좋아 봉이 김선달이 물 떠서 파는 것과 똑같다”라는 말로 공동투자를 홍보한 ‘ㅎ’ 경매학원. 학원 수강생 100여 명에게 1인당 6,000여만 원씩 투자금을 받은 A 원장은 부족한 돈을 은행에서 빌려 같은 해 2월, 94억 원에 섬을 낙찰받았다. 이후 5년이 흘렀지만 물치도는 개발은 커녕 현재 폐허로 남아있다. 경매학원의 수강생으로 김 원장의 말만 믿고 8,000만 원을 투자한 최준식(가명) 씨는 폐허로 변한 물치도에서 망연자실했다. 물치도 공동투자는 왜 이렇게 허무하게 끝난 것일까? 전모를 추적했다. “5년 가까이 대출금 43억 원에 대한 이자를 갚고 있습니다. 아직도 몇몇 투자자는 이 섬에서 학원이 수익 사업을 시작하거나 좋은 가격에 되팔 수 있을 거라고 믿고 있어요. 무너진 이 선착장과 끊긴 도로를 그분들이 본다면 저처럼 억장이 무너지지 않을까요?” -투자자 최준식(가명) 씨 인터뷰 중 ■ 같은 땅, 같은 수법, 계속되는 공동투자 피해 경매학원을 운영하는 A원장의 이런 투자수법은 처음이 아니다. 2018년 A 원장의 경매학원을 통해 김포의 전원주택 부지에 공동투자한 김민수(가명) 씨는 당시 개발 가능성이 없는 땅을 소개한 A 원장에게 조속한 매매를 요구했다. 결국 2년 6개월 만에 땅을 팔아 겨우 원금만 받을 수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 땅을 산 사람은 김 원장 직원의 지인이 대표로 있는 SPC(특수목적법인)였다. 그런데 2022년 김 원장은 이 땅으로 다시 투자자들을 모집, 땅의 가격을 올렸다. 애초 32억에 낙찰받았던 땅은 두 번의 거래를 통해 47억으로 뛰었다. 정상적이지 않고 석연치 않은 거래로 의심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이 땅은 경사도가 11도가 넘어 애초에 개발이 힘든 땅이다. 현재 70명의 투자자는 팔 수도 개발할 수 없는 땅에 이자만 부담하며 한숨만 쉬고 있다. “우리한테는 이게 다 개발된다고 말했지만 학원 특성상 자기네들도 그걸 모르면서 할 수는 있죠. 그런데 재매매를 할 때는 이게 분명히 개발 안 되는 걸 알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다시 되팔 때 개발이 된다고 하고 팔았다는 거죠. 그 얘기 듣고 굉장히 놀랐어요. 진짜 이렇게까지도 수법이 악랄해질 수 있구나란 생각이 들었어요.” - 과거 투자자 김민수(가명) 씨 인터뷰 ■ 투자자 모르게 팔린 부동산, 매매대금은 어디 있는지도 몰라 또 다른 투자자 이영희(가명) 씨는 구리시의 작은 세차장이 개발 예정이라는 말을 듣고 6,240만 원을 투자했다. 그런데 최근 경매학원으로부터 투자용 보유자금이 바닥났으니 추가로 납입하라는 통보를 받았다. 최초 매매 당시에는 이영희 씨와 43명의 투자자가 투자한 원금 22억 원을 제외하고도 9억이 넘는 보유 자금이 있었다고 한다. 9억 원이 2년 만에 석연치 않게 바닥난 까닭은 무엇일까? 경매학원 측이 제공한 현금 입출금 내역에는 투자자는 몰랐던 세 회사가 등장하고 이 회사들은 주기적으로 투자자들의 통장에서 ‘대여금’이란 명목으로 수천만 원의 현금을 빼낸 정황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 세 회사는 해당 부지의 필지를 나눠 구입한 걸로 등기부등본상에 기록되어 있었다. 투자자가 영문도 모르는 사이 끊임없이 빠져나간 투자금. 투자자들의 피해는 어디서 구제받을 수 있을까? 이 문제를 책임져야 할 A 원장과 아들은 공동투자를 통해 보유한 땅을 매각해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은 하지 않았다. #추적_60분 #다시보기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