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시사/교양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영화조타
3 0 0
name | 추적 60분 |
---|
최신 드라마/예능 다시보기 사이트에서 소개하는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링크 리뷰 줄거리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6.25전쟁이 일어난 지 74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간인 학살의 진상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우리 사회가 엄청난 수의 민간인 학살이라는 비극을 마주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민간인 학살의 진상은 2005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 <추적60분>은 70여 전 일어났던 사건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을 만나보고 아직 남은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 어머니와 74년 만의 만남 – 민간인 학살 희생자 신원 확인 2024년 5월 최초로 6.25전쟁 민간인 학살 희생 사건 유해 6구의 신원이 확인됐다.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시범사업으로 실시한 신원 확인 조사를 통해 74년 만에 유해들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신원 확인을 통해 말로만 전해 듣던 어머니의 죽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 맹용호 씨. 맹용호 씨의 어머니가 희생된 곳은 아산시 배방읍이었다. 어머니가 처형된 이유는 ‘부역 혐의’였다. 맹씨는 어머니의 ‘부역 혐의’가 무엇인지 아직도 알지 못한다. 아산시 배방읍 일대의 산속에는 맹용호 씨의 어머니와 같이 부역 혐의로 희생당한 민간인 유해가 총 270여구 발굴되었다. ”무슨 죄가 있어서 (희생) 당했다면 억울하지는 않겠지만 아무 의미 없이 돌아가셨잖아요. 그게 얼마나 억울해“ - 맹용호 / 아산부역혐의 희생자 유족 현재, 세종시 추모의 집에 임시로 안치된 민간인 희생 사건의 유해 4,100여 구는 여전히 신원 확인을 기다리고 있다. ■ 대전 ‘골령골’ - 대전 형무소 재소자 희생 사건 6.25전쟁 발발 직후, 대전 산내 골령골의 길이 30m에서 180m에 이르는 구덩이 여러 곳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된 것으로 파악된다. 골령골에서 희생된 민간인들은 당시 대전형무소에 수감 된 정치범과 사전 구금된 국민보도연맹원들이었다. 이들뿐 아니라 1950년 9월 인민군들이 후퇴하는 시점에 대전형무소와 인근에 수감 됐던 우익인사, 반공 인사도 대전형무소 우물터에서 살해당했다. ”이게 인민군이나 공산군이나 대한민국 군인이나 동족상잔의 비애가 아니냐는 말이지“ 故이준영 (2011년 작고) / 당시 대전형무소 근무 ■ 6.25전쟁 최대 학살 피해지 – 호남지역 대한민국 통계연감을 보면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국토 전역에서 참혹한 학살이 일어났다. 그중에서도 전남의 민간인 학살 희생자 수는 다른 지역의 몇 배에 이른다. 산악지역 주민들이 군경의 토벌 작전에 희생되고 호남의 해안 지역에서는 좌익과 우익 세력 간의 상호 학살도 일어났기 때문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 직후인 1955년 전남 신안군 임자면에서 희생된 이들의 이름이 담긴 ‘순사자명단’이 발굴된 것을 계기로 신안군 여러 섬에서 발생한 국민보도연맹사건,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부역 혐의 사건 등의 가해 주체, 규모, 배경 등을 2022년부터 직권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지금까지 군경과 적대세력에 의한 1000여 명이 넘는 희생자가 밝혀졌다. “재판을 받고 사람을 죽이든지 살리든지 해야 하는데 그때는 무법천지라 그런 것 없이 의심이 가는 혐의자면 무조건 경찰이 총살” - 신안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 유족 “성경 읽는다고 우리 식구들이 죽었지 그때 이장을 했는데 성경학 배우면 죽여버린다고 해서 우리 식구를 죽였지, 아무 죄도 없는데” - 신안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 유족 한편 전남 영광에서는 2021년부터 군경,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자 유족들이 서로의 아픔을 마주하고 더 이상 가해 주체를 구별하지 않는 ‘합동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전쟁이라든가 갈등이라든가 화합의 분위기를 조성해야겠다는 문구 외에는 모두 삭제를 시켰어요 ‘오직 추모와 화합의 장이 되기를 바랄 뿐입니다’라는 최종 목표가 그겁니다.” - 영광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족 ■ 진실규명과 진정한 명예회복을 위한 길은? - 남은 과제와 대안 2020년부터 활동해 온 2기 진실화해위원회는 과거사 정리 기본법에 따라 2025년 5월 말 조사 기간이 종료되고 활동을 마치게 된다. 2022년 진실화해위원회는 전국 300여 곳에 민간인 학살 유해 매장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 중 유해 발굴이 실제로 가능한 지역은 36개소. 1년도 채 안 남은 조사 기간은 모든 유해를 발굴하기에 부족한 시간이다. 심지어 발굴된 유해마저 안치할 장소가 없어 컨테이너 박스에 보관되고 있다. 배상과 보상의 문제도 있다. 현재는 민간인 학살 희생자들에 대한 특별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민간인 학살 희생자라면 가해 주체나 학살 이유로 구분하지 않고 모든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구제 방안이 필요하다고 진실화해위원회는 제안한 바 있다. “사회에서 할 수 있는 상징적 의례로서 화해와 치유가 가장 중요한 게 인간의 죽음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거 아니겠습니까? 비정상적 죽음을 정상적 죽음으로 인도해 주는 게 그게 인권 국가로서의 가치를 가지는 국가이고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 국가가 나아가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 노용석 / 부경대 국제지역학부 교수 진실화해위원회 활동 종료까지 1년 남은 시점에서 <추적60분>은 625전쟁 민간인 희생의 남은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추적_60분 #다시보기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링크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무료보기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티비나무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소나기티비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영화조타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영화조아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누누티비 추적 60분 45회 다시보기 240628 45화 티비몬 |
|||
AD
무료보기
다시보기1
· 노제휴/비제휴
· 쿠폰 100,000p 지급! · 첫결제 없는 웹하드 다시보기2
· 노제휴/비제휴
· 가입즉시 100만p 지급! · 첫결제 없는 웹하드 다시보기3
· 자료많은 웹하드 No.1
· 혜택 많은 웹하드 · 제휴/합법 다운로드 |
|||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6.25전쟁이 일어난 지 74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간인 학살의 진상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우리 사회가 엄청난 수의 민간인 학살이라는 비극을 마주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민간인 학살의 진상은 2005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 <추적60분>은 70여 전 일어났던 사건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을 만나보고 아직 남은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 어머니와 74년 만의 만남 – 민간인 학살 희생자 신원 확인 2024년 5월 최초로 6.25전쟁 민간인 학살 희생 사건 유해 6구의 신원이 확인됐다.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시범사업으로 실시한 신원 확인 조사를 통해 74년 만에 유해들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신원 확인을 통해 말로만 전해 듣던 어머니의 죽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 맹용호 씨. 맹용호 씨의 어머니가 희생된 곳은 아산시 배방읍이었다. 어머니가 처형된 이유는 ‘부역 혐의’였다. 맹씨는 어머니의 ‘부역 혐의’가 무엇인지 아직도 알지 못한다. 아산시 배방읍 일대의 산속에는 맹용호 씨의 어머니와 같이 부역 혐의로 희생당한 민간인 유해가 총 270여구 발굴되었다. ”무슨 죄가 있어서 (희생) 당했다면 억울하지는 않겠지만 아무 의미 없이 돌아가셨잖아요. 그게 얼마나 억울해“ - 맹용호 / 아산부역혐의 희생자 유족 현재, 세종시 추모의 집에 임시로 안치된 민간인 희생 사건의 유해 4,100여 구는 여전히 신원 확인을 기다리고 있다. ■ 대전 ‘골령골’ - 대전 형무소 재소자 희생 사건 6.25전쟁 발발 직후, 대전 산내 골령골의 길이 30m에서 180m에 이르는 구덩이 여러 곳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된 것으로 파악된다. 골령골에서 희생된 민간인들은 당시 대전형무소에 수감 된 정치범과 사전 구금된 국민보도연맹원들이었다. 이들뿐 아니라 1950년 9월 인민군들이 후퇴하는 시점에 대전형무소와 인근에 수감 됐던 우익인사, 반공 인사도 대전형무소 우물터에서 살해당했다. ”이게 인민군이나 공산군이나 대한민국 군인이나 동족상잔의 비애가 아니냐는 말이지“ 故이준영 (2011년 작고) / 당시 대전형무소 근무 ■ 6.25전쟁 최대 학살 피해지 – 호남지역 대한민국 통계연감을 보면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국토 전역에서 참혹한 학살이 일어났다. 그중에서도 전남의 민간인 학살 희생자 수는 다른 지역의 몇 배에 이른다. 산악지역 주민들이 군경의 토벌 작전에 희생되고 호남의 해안 지역에서는 좌익과 우익 세력 간의 상호 학살도 일어났기 때문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 직후인 1955년 전남 신안군 임자면에서 희생된 이들의 이름이 담긴 ‘순사자명단’이 발굴된 것을 계기로 신안군 여러 섬에서 발생한 국민보도연맹사건,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부역 혐의 사건 등의 가해 주체, 규모, 배경 등을 2022년부터 직권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지금까지 군경과 적대세력에 의한 1000여 명이 넘는 희생자가 밝혀졌다. “재판을 받고 사람을 죽이든지 살리든지 해야 하는데 그때는 무법천지라 그런 것 없이 의심이 가는 혐의자면 무조건 경찰이 총살” - 신안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 유족 “성경 읽는다고 우리 식구들이 죽었지 그때 이장을 했는데 성경학 배우면 죽여버린다고 해서 우리 식구를 죽였지, 아무 죄도 없는데” - 신안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 유족 한편 전남 영광에서는 2021년부터 군경,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자 유족들이 서로의 아픔을 마주하고 더 이상 가해 주체를 구별하지 않는 ‘합동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 “전쟁이라든가 갈등이라든가 화합의 분위기를 조성해야겠다는 문구 외에는 모두 삭제를 시켰어요 ‘오직 추모와 화합의 장이 되기를 바랄 뿐입니다’라는 최종 목표가 그겁니다.” - 영광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족 ■ 진실규명과 진정한 명예회복을 위한 길은? - 남은 과제와 대안 2020년부터 활동해 온 2기 진실화해위원회는 과거사 정리 기본법에 따라 2025년 5월 말 조사 기간이 종료되고 활동을 마치게 된다. 2022년 진실화해위원회는 전국 300여 곳에 민간인 학살 유해 매장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 중 유해 발굴이 실제로 가능한 지역은 36개소. 1년도 채 안 남은 조사 기간은 모든 유해를 발굴하기에 부족한 시간이다. 심지어 발굴된 유해마저 안치할 장소가 없어 컨테이너 박스에 보관되고 있다. 배상과 보상의 문제도 있다. 현재는 민간인 학살 희생자들에 대한 특별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민간인 학살 희생자라면 가해 주체나 학살 이유로 구분하지 않고 모든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구제 방안이 필요하다고 진실화해위원회는 제안한 바 있다. “사회에서 할 수 있는 상징적 의례로서 화해와 치유가 가장 중요한 게 인간의 죽음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거 아니겠습니까? 비정상적 죽음을 정상적 죽음으로 인도해 주는 게 그게 인권 국가로서의 가치를 가지는 국가이고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 국가가 나아가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 노용석 / 부경대 국제지역학부 교수 진실화해위원회 활동 종료까지 1년 남은 시점에서 <추적60분>은 625전쟁 민간인 희생의 남은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추적_60분 #다시보기 |
이 글을 공유하기